실시간 뉴스


[리뷰]누구도 죄인이 아닌 영화 '그녀가 떠날 때'


불행에 맞선 여인, 가족이라는 더 큰 장벽을 만나다

[권혜림기자] 함께 길을 걷던 여인을 향해 총구를 겨누는 소년, 가녀린 몸에 슬픔과 경악을 담은 채 뒤를 돌아보는 여인. 영화는 직접 이들의 뒤를 쫓듯 불안하게 흔들리는 화면으로 시작한다.

'그녀가 떠날 때'는 사랑 대신 강요와 폭력만이 가득한 결혼 생활을 해온 여성 우마이의 이야기다. 터키인 가정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자란 우마이는 원하는 공부를 하면서 인간적인 삶을 살길 원한다. 그러나 이른 결혼 뒤 그를 찾아온 것은 소통 없는 생활과 부부 사이의 강압적 권력관계였다.

자신과 어린 아들을 둘러싼 불행의 기운을 따돌리기 위해 남편 가족을 떠나 고향 독일로 향하는 우마이. 그러나 고향의 가족도 우마이와 그의 아들 쳄을 따뜻하게 품어줄 수 없다. 우마이의 가족은 종교와 민족 공동체의 보수적 신념을 강하게 지켜 온 이들이기 때문이다.

가족들은 서서히 결혼에 실패한 우마이를 부끄러운 존재로 여기기 시작한다. 급기야 아들 쳄을 전 남편이 있는 이스탄불로 보내려 하면서 우마이와 가족의 갈등은 극으로 치닫는다. 불행을 피해 고향을 찾은 우마이가 더욱 큰 벽을 맞닥뜨리는 셈이다. 믿었던 가족에게서도 답을 찾지 못한 우마이는 깊은 절망을 느낀다.

영화의 시작이 예고한 비극적 결말은 기대못한 반전으로 이어지며 관객의 허를 찌른다. 이슬람 문화권의 명예살인이라는 모티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비평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온전한 죄인은 없다. 모두가 민족·종교·문화 등 자신을 둘러싼 가치관과 소중한 딸이자 누나·동생인 우마이 사이에서 괴롭고 진심어린 고민을 이어갈 뿐이다.

'그녀가 떠날 때'는 일견 보는 이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영화다. 자주 등장하는 가족간의 손찌검 장면이나 여성을 향한 가부장적 시선이 그렇다. 그러나 폭력, 가부장 문화, 가족 간 갈등, 전통과 신문화의 충돌은 사실상 우리 일상에 만연한 이야기들이다.

영화는 낯설지 않은 소재들을 극단적인 맥락과 사건에 결부시켜 관객들을 고민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관객들은 우마이와 가족들의 갈등에 몰입하게 된다. 민족과 종교, 국가를 초월한 영화의 보편성이 빛을 발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스크린을 가득 채운 어두운 기운 속에서도 '그녀가 떠날 때'는 좀처럼 차분함을 잃지 않는다. 특히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서 15차례 여우주연상을 석권한 시벨 케킬리의 연기력은 단연 압권이다. 우마이로 분해 일상을 옥죄는 다층적 폭력에 맞서는 그의 연기는 과장 없이 담담하다.

우마이의 부모로 등장하는 셋타 탄리오겐과 데리아 알라보라 역시 호연을 펼쳤다. 이들은 곤경에 처한 딸을 향한 애증의 감정을 실감나게 표현했다.

'그녀가 떠날 때'는 지난 2010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 유럽영화상을 수상했고 독일 대부분의 유명 영화제에서 상을 휩쓸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연출을 맡은 여성 감독 페오 알라다그는 6년을 공들여 완벽에 가까운 시나리오를 완성했다. 러닝타임은 119분이며 오는 29일 개봉한다.

조이뉴스24 권혜림기자 lima@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리뷰]누구도 죄인이 아닌 영화 '그녀가 떠날 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