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KISTI의 과학향기]나만의 맞춤형 개성을 인쇄한다, 3D 프린터


'쿠키커터(cookie-cutter)'란 쿠키를 만들 때 쓰는 틀을 말한다. 또한 영어에서는 '판에 박은', '개성이 없는'이라는 뜻의 형용사로도 사용된다. 같은 틀을 사용하니 똑같은 모양의 쿠키를 만들어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앞으론 '쿠키커터'의 형용사적 의미가 바뀔지도 모른다. '개성이 없는'이 아니라 '나만의 맞춤형 개성' 정도로 말이다.

우리나라 스타트업 기업 중 하나인 '아이빌디어'에서는 곰돌이나 크리스마스트리 등 다양한 모양의 쿠키커터를 제작해 판매하고 있다. 이 회사에서는 소비자들이 직접 만든 새로운 문양의 쿠키커터를 의뢰해 와도 그대로 제작해줄 수 있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맞춤형 쿠키커터를 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3D 프린터는 우리가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프린터로 인쇄하듯이 신발이나 휴대폰 케이스, 장난감 같은 상품의 설계도를 내려 받아 3차원의 입체적인 물건을 인쇄하는 기계다.

하지만 3D 프린터는 완전히 다른 방법이다. 여러 재료를 바닥부터 매우 얇은 층으로 차곡차곡 쌓아올려 3차원의 입체적 모양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이 기술은 금속 프레스나 절단기, 플라스틱 사출 금형 등을 갖춘 작업장 없이도 설계도면과 똑같은 물건을 만들 수 있다.

흔히 3D 프린터라고 하면 근래에 개발된 최신 기술로 알지만, 놀랍게도 이 기계는 나이가 서른 살에 가까운 전통 기술이다. 1981년 일본 나고야 시립연구소의 히데오 고마다가 처음 개발하고, 1984년 미국의 찰스 헐이 특허 출원을 했다. 그리고 1988년 미국의 3D시스템즈라는 회사가 상용화에 성공해 본격적으로 출시했다.

이후 주로 산업용 시제품을 제작하거나 고가의 소량 부품을 제조할 때 사용되던 3D 프린터는 최근 들어 저가형 모델이 보급되면서 대중화되고 있다. 초창기 3D 프린터의 가격은 약 20만 달러에 달했으나 지금은 저가형 모델의 경우 약 1천 달러에 불과하다. 따라서 요즘은 시제품보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완성품을 생산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2003년 3D 프린터의 완성품 생산 비율은 3.9% 수준이었으나 2012년에는 28.3%로 상승했다.

선진국에서는 3D 프린팅을 제조 혁신의 핵심으로 여기고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기존 산업의 제조 공정을 고도화해서 제조업 혁신을 유도할 것으로 예측되는 새로운 성장 동력 후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3D 프린팅의 가장 큰 강점은 다품종 소량생산에 있다. 이는 나만의 맞춤형 개성을 강조하는 현대인들과의 취향과도 잘 맞아떨어진다.

올해 초에 개최된 '2015 디트로이트모터쇼'에서는 '스트라티(Strati)'란 전기자동차가 단연 화제가 됐다. 그 이유는 이 차가 모든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3D 프린터로 44시간 만에 제작됐기 때문이다.

보통 3D 프린터를 통해 인쇄할 수 있는 크기는 30㎝ 이내지만, 자동차 제작용인 'BAAM'은 3m 길이의 물체를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체를 제작한 다음 CNC 루팅기를 이용해 표면을 깎고 다듬는 절삭가공 작업을 거쳤다. 이후 약 40여 개에 이르는 부품과 기계장치들을 조립해 무게 200㎏의 초경량 차가 만들어진 것.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들어가는 부품 수는 약 2만 개 정도지만 스트라티의 경우 제작공정을 단순화해 부품 수를 대폭 줄였다. 그럼에도 스트라티는 공식 테스트에서 시속 60~96㎞의 속력을 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트라티를 만든 '로컬 모터스'라는 회사의 최종 목표는 세계에서 가장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3D 프린터 차의 제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올해 말경에는 3D 프린터로 제작된 자동차를 시중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개성 있는 자동차를 도로에서 볼 수 있게 될 날도 멀지 않은 셈이다.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색상들을 다양하게 조합해 자신만의 개성 있는 색조화장품을 제작할 수 있는 3D 프린터도 출시됐다. 지난해 미국 뉴욕의 한 창업컨퍼런스 행사장에서 선보인 '밍크(Mink)'라는 제품이 바로 그것. 이 3D 프린터는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색상을 마음대로 골라 립스틱이나 아이섀도우 같은 색조화장품을 만들 수 있다. 이 제품을 잘 활용할 경우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수백 가지 색상의 화장품을 마음대로 제작할 수 있어 화장품 업계에 큰 혁신을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3D 프린터로 인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무엇보다 의료산업이다. 개개인의 체형에 맞는 제품 생산이 가능해져 의료기기, 인공장기 제조, 나노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이전의 보청기는 최소한 10년 이상 경력의 숙련공들이 정성 들여 깎고 다듬는 방식으로 제작돼 왔다. 그런데 3D 프린터가 등장하면서 숙련공의 손을 거치지 않아도 환자 귀 모양에 꼭 맞는 보청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 것. 3D 프린트로 인해 보청기 제작 작업 속도가 빨라질 뿐만 아니라 불량률이 크게 낮아지고 고객들의 착용감 역시 예전에 비해 크게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장기이식수술이나 성형수술 등에도 3D 프린터는 큰 도움을 주고 있다. CT로 촬영한 이미지를 활용해 장기 복제품을 미리 출력하면 실제 수술 환자 장기의 어느 부분을 어떻게 절개해야 할지 미리 시뮬레이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전에는 의사의 눈대중에 기대야 했던 성형 시술에서도 3D 프린터로 보형물을 제작하면 손상 전의 모양을 완벽히 재생할 수 있어 시술 후 부작용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지금의 프린터처럼 앞으로 집집마다 3D 프린터가 한 대씩 놓일 경우 어떤 새로운 형태의 상품과 서비스가 등장할지는 아직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다.

글 : 이성규 과학칼럼니스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있습니다.








alert

댓글 쓰기 제목 [KISTI의 과학향기]나만의 맞춤형 개성을 인쇄한다, 3D 프린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