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 정책토론회


"플랫폼 노동 거래, 장점 살리면서 부작용 최소화 정책 필요"

[아이뉴스24 양태훈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가 20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 2차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앞서 '산업의 자동화 및 인공지능화에 의한 노동시장 영향과 대응방향'을 주제로 열린 1차 토론회에 이어 '산업의 플랫폼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영향과 대응 방향'을 주제로 개최됐다.

전문가들과 함께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콘셉트로, 이날 토론회에는 전용일 성균관대 교수와 최계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사 등이 참석해 4차 산업혁명의 노동시장에 대한 영향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했다.

전용일 성균관대 교수는 유통산업을 중심으로 플랫폼화의 노동시장 영향을 분석해 O2O 플랫폼 중심으로 유통시장이 재편되면서 미국의 오프라인 기반 장난감 판매 체인 토이저러스가 파산, 유기농 식품 유통회사 홀푸드가 아마존에 인수되는 등 유통산업의 구조조정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전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O2O 플랫폼 관련 일자리(전자상거래 종사자, 택배·퀵서비스 등)가 매년 증가함에도 전통 오프라인 도소매업(대형 종합소매업, 슈퍼마켓, 편의점 등) 종사자 역시 꾸준히 늘어 플랫폼화에 따른 일자리 대체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최계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박사는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 플랫폼 노동과 같은 새로운 근로 형태가 20~30%에 이르고 플랫폼을 통해 거래되는 일자리의 경제적 가치가 오는 2025년에 2조7천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맥킨지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일에 대한 만족도 역시 일반 노동자 보다 높다는 긍정적인 조사 결과가 다수 발표되는 만큼 일방적 비판이나 포괄적 보호보다는 경제적 취약계층에 속하는 플랫폼 노동자에 집중한 선별적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종일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과장은 최근 국가인권위원회의 특수고용노동자에 대한 노동 3권 보장 권고 등 플랫폼 노동에 관한 국내 정책 동향을 소개했다.

또 향후 플랫폼 노동의 특성을 고려해 노동관련 법제의 개선, 4대 보험 적용 등 사회 안전망 강화 등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확대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학계·유관기관·업계 전문가 토의도 개최, 근로조건에 대한 자기 결정권 확대로 인해 근로자에게 긍정적 영향이 될 것이라는 분석부터 플랫폼의 특성상 항시 대기 상태에 놓이게 돼 일과 가정의 경계가 무너질 것이라는 부정적 영향까지 플랫폼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이창희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부단장은 이와 관련 "구글, 아마존, 우버와 같은 플랫폼 기업이 인공지능 등 혁신기술을 활용해 신산업을 창출하면서 세계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며, "플랫폼을 통한 노동 거래에는 노동자의 시간·장소 선택권 강화, 취약계층의 경제활동 편입 등 장점과 고용 안정성 약화, 업무 과다 등 단점이 모두 있으므로 장점을 살리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태훈기자 flam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 정책토론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