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윤지혜]생활용품에도 '클린 라벨'이 필요해


"소비자 알권리 위해 제품 생산·유통 과정 공개해야"

[아이뉴스24 윤지혜기자] 올해 세계 식품 업계의 화두는 '클린 라벨'이다. 클린 라벨이란 소비자가 해당 식품의 첨가물·글루텐·천연원료 함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부착한 라벨로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제품도 늘고 있다.

글로벌 식음료 시장조사 및 마케팅 컨설팅 기업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 2011년~2015년 클린 라벨 부착 상품은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남미에서는 37%가량 급증했으며 북미에서는 18%, 유럽지역에서는 17%, 아시아에서는 16%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클린 라벨이 필요한 곳이 비단 식품 업계뿐일까.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태를 겪지 않으려면 생활화학제품에도 '클린 라벨'이 필요하다. 옥시레킷벤키저가 떠난 세탁 용품 자리를 다른 국내 업체가 꿰찬다 해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마냥 안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 뉴욕에서는 이런 우려를 반영해 최근 가정용 세탁용품 내 모든 화학 성분과 함량을 공개하도록 했다.

물론 국내에서도 가습기 살균제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올 초 환경부·식품의약품안전처·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내 17개 생활화학제품 제조·수입·유통사와 함께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오는 2019년 2월까지 제품 내 모든 성분을 공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6월 말까지 성분 공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민간 차원에서도 환경NGO가 '생활환경운동'을 갖고 생활용품에 포함된 화학물질에 대한 팩트 체크 활동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기업이 협약에 참여하지 않아 '미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생활용품에 가습기 살균제 속 유해성분(CMIT/MIT)이 검출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 성분 공개가 의무가 아닌 업계 자발적 노력에 기대는 수준이라면 실효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실제 참여 업체 중 3곳은 지난달까지 정부에 내기로 했던 세부 이행계획을 지연 제출하기도 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추산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중소기업이 생활화학제품을 제조하고 있음에도 일부 업체 참여에 그쳐 아쉽다"라며 "참여 기업도 환경부 가이드라인이 나오기까지 시간을 벌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의 자발적 노력에 기댈 게 아니라 관련 규제와 법 지침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들 업체가 언제까지 전 성분을 공개할지 공문을 보내고 공개 과정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생활화학제품 업체 관계자는 "협약에 따라 2018년 12월 31일까지 전 성분 공개를 완료할 계획으로 이에 맞춰 준비하고 있다"라며 "우선적으로 공개가 가능한 제품에 대해서는 준비가 되는 대로 공개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앞서 언급한 클린 라벨은 단순히 가공식품을 배척하고 천연식품을 장려하기 위한 운동이 아니다. 그보다는 기업이 '영업비밀'이라며 감춰왔던 식품 생산·유통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데 방점이 찍혀 있다. 즉, 착한 식품보다는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는 '착한 기업'을 판별하려는 노력에 가깝다.

이런 점에서 가습기 살균제 참사 이후 생활화학제품 업체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업계 스스로 클린 라벨을 부착하려는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문재인 대통령도 후보 시절부터 가습기 살균제 사건 재조사와 진상규명을 약속한 만큼,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을 담보할 만한 제도적 장치를 고민해주길 바란다.

윤지혜기자 ji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윤지혜]생활용품에도 '클린 라벨'이 필요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